연금 조회 해보기(퇴직 연금, 국민 연금 등)
연금
연금은 퇴직이나 보험사고 등이 발생하여
일정 기간 규칙을 두고 지급받는 형태의 급여를 말한다
가장 대표적으로 공적연금 중에 하나인 국민연금이 있고
사적연금에는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이 있다
공적연금은 한 가지를 가입하게 되며
1. 일반적인 근로자 : 국민연금
2. 공무원 : 공무원연금
3. 군인 : 군인연금
4. 교직원 등 : 사학연금 이렇게 있다
신분에 따라 한가지는 최소한 각 운영 연금법에 따라 적립하게 된다
사적연금은
1. 퇴직연금
2. 개인연금 정도가 대표적이며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에 따라
퇴직일시금이 아닌 퇴직연금을 가입한 경우 퇴직연금 제도에 가입하게 된다
따라서 퇴직연금은 근로활동을 하는 근로자가 가입대상이며
일시금이 아닌 연금가입을 하는 사업장에 근무할 시 가입할 수 있다
개인연금은 개인이 선택적으로 추가 운용하는 것이며
개인연금펀드나 개인연금보험이 있다
나는 보험을 가입했다가 운용수익도 문제이지만
운용보수가 많이 나가는 것을 보고
개인연금펀드를 가입해서 적립 중이다
연금의 관리
가입 운영주체가 포트폴리오로 확정지급을 위해 운영하는 공적연금과 달리
사적연금은 연금의 관리가 필요하다
대표적으로는
1. 운용이 잘되고 있는지?
2. 운용성과나 포트폴리오가 잘 진행되고 있는지?
이다
사적연금의 경우 모두가 이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특정 상품의 경우 내가 운용 포트폴리오를 손 볼 수 있지만
수동적으로 수익이나 성과표만 받을 수도 있다
이런 부분은 배제하고
오늘은 가입이 잘 되어있고 기금 형성이 잘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포스팅을 하게 되었다
통합 연금포털
금융감독원에서 제공하는 연금포털이 있다
그동안은 찾아볼 생각이 없었는데
어머니가 다니는 병원의 퇴직연금액 보고서가
금액이 들쑥날쑥해서 알아보다가 찾게 되었다
사이트 주소 사이에 "or" 이 붙어있는 것은
정부기관 사이트를 의미한다
검색해서 바로 들어가더라도 정확한 주소가 맞는지 확인은 해봐야 한다
로그인을 하고 나서
조회항목에서 내 연금 조회를 누르면
조회가 진행된다
DB 조회가 바로 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기관에 흩어진 자료를 조회하다 보니
시간이 다소 걸린다
조회가 다 되면
총 5개의 카테고리로 로그인자(대상자)의 연금정보가 나온다
1. 국민연금
2. 퇴직연금(DB형)
3. 퇴직연금(DC형)
4. 개인연금
5. 추가 연금
가입이 안되어있으면 없다고 나오기 때문에
가입하여 조회를 하면서
나의 연금이 제대로 가입되어있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나의 경우 이 사이트를 가입한 이유인
어머니 회사의 퇴직연금 가입내역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참고
가입을 한다고 바로 조회가 가능한 것은 아니다
3일의 확인 작업이 필요해서
가입을 하게 되면 3일 후부터 조회가 가능하다고 나온다
가입정보에서 상세 클릭하면 상세정보가 일부 나오지만
완전한 자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1장만 출력)
따라서 가입 유무와 금액 등 기본적인 자료 참고용으로 사용하고
이후 추가 필요한 부분은 해당 운영기관 하고 이야기를 해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