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세표준2 법인세율과 과세표준 과세표준 과세표준이란 세금을 부과함에 있어서 그 기준이 되는 것을 말한다 과세표준은 매출이 아니고 당기순이익도 아니다 가감을 하여 세율을 적용시킬 최종적인 기준이 되는 것이다 세율을 적용할 근거이기 때문에 과세표준은 저마다 다르다 여기서 말하는 과세표준은 법인세를 곱해 계산할 법인세법상 과세표준을 말한다. 법인세법상 과세표준은 법인의 손익계산서상 당기순손익에서 시작한다. 즉 기준연도의 매출과 매입 그리고 판관비에서 영업외 손익 등을 전부 차가감하여 산출된 당기순손익에서 과세표준 작업이 시작된다. 여기서 소득조정과 이비소(이월결손금, 비과세소득, 소득공제)를 차감하여 최종적으로 세율을 적용할 과세표준이 계산된다. 지금은 구조를 말하는 것이니 각 항목은 설명하지 않았다. 위에 핵심은 당기순손익 = 과세표준이.. 2022. 3. 5. 수입금액? 소득금액? 과세표준? 기준 1. 대출 2. 청약 3. 신용평가 4. 지원금 5. 건강보험료 등등 사업주는 당연하지만, 일반 개인 근로자나 개별 프리랜서, 그리고 일용직 아르바이트까지 삶을 살다 보면 모두가 기준이라는 것에 각각 적용을 받고 있다 그 기준이 단일화된 기준이면 어렵지 않은데 중위소득부터 소득금액 그리고 매출, 연봉 등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용어를 접할 때면 어려움이 있다 여기서 실무상 그리고 세법상 자주 쓰이는 기준 3가지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본다 수입금액 수입이란 수출입의 수입이 아니라 돈이나 물품 따위를 거두어들인다는 의미에서의 수입이다. 즉 우리가 벌어들이는 금액을 말한다 벌어들인다는 것은 여러 의미가 있는데 1. 세전인지? 세후인지? 2. 순수하게 남은 금액인지? 3. 총금액을 말하는 건.. 2021. 12. 2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