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가세2

부가가치세 매입 부가가치세 매입 매출은 사업자와 소비자의 거래행위에 대한 결과를 신고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잘 신고하면 된다 1. 빠짐없이 / 누락 없이 2. 과하지 않게 / 중복 없이 신고를 잘하면 된다 이에 반해 부가가치 세법상 매입자료는 해석이 일부 필요하다 왜? 부가가치세를 구성하는 적격증빙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종이자료는 적격증빙이 아니기 때문에 해석에 따라 종합소득세에 반영한다. 위 3가지인 1. (세금) 계산서 2. 신용카드 매출전표 3. 현금영수증 매입자료는 적격증빙으로써 부가가치세 매입세액을 구성한다 이런 자료는 실질과세 원칙에 따라 사업성을 따져 공제와 불공제를 분류해야 한다 국세청에서 DB상 분류해주는 공제와 불공제는 실질 사업성과 다를 수 있음으로 납세자 혹은 납세자가 선임한 세무대리인이 사.. 2022. 1. 16.
21년 2기 확정 부가가치세 (~2022.01.25) 부가가치세의 신고 과세기간은 각 사업자마다 차이가 있다. 1기 확정기간에는 간이사업자가 신고납부의무가 없는데 이번에는 있다 그래서 이번 21년 2기 확정신고는 모든 사업자가 신고납부 대상자이다. 개인 일반과세자 2021.07.01. ~ 2021.12.31. 개인 간이과세자 2021.01.01. ~ 2021.12.31. 소규모 법인(예정고지 대상) 2021.07.01. ~ 2021.12.31. 일반 법인(예정고지 미대상) 2021.10.01. ~ 2021.12.31. 따라서 모든 사업자는 자기 사업장의 과세기간의 내용에 따라 2022년 1월 1일부터 ~ 2022년 1월 25일까지 신고납부를 진행해야 한다. 신고가 시작되었는데 왜 신고를 안 하나? 이유는 바로 자료제공의 일정 때문이다 세금계산서 발급 특례 .. 2022. 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