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무사사무실분위기3 세무대리인 인력난 2017년 이때만 해도 면접 볼 때 굉장히 많은 사무실에서 불합격을 했었다. 1. 나이가 많다 2. 나중에 일반 사무실 갈 것 같다 3. 남자는 영업도 해야 하는데 그렇게 보이질 않는다 등등 사람의 됨됨이도 물론 중요하지만 개인 사유와 상황만을 내세워 불합격할 정도로 인력은 풍부했었다. 2022년 현재 세무대리인을 찾기는 어렵다. 제대로 된 사람이든 아니면 경력을 쌓을 신입이든 구하기 어렵다. 자격 하나 또는 전공만 맞아도 쉽게 진입할 수 있는 구조인데 왜 이렇게 되었을까? 세대의 변화와 임금의 변화 2018년 개혁에 가까운 수준으로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인건비 부담이 늘었다 세무사 사무실은 기장료와 조정료 등이 기본 수익이 되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 기장료 인상은 쉽지 않다 거래처는 개별 소화 가능한 수.. 2022. 8. 5. 세무사 사무실 사회생활 사회생활 인생선배님들과 지인 그리고 취업사이트와 일자리센터 등 다양한곳에서 활동을 하며 직장인이 될 나의 사회생활이미지를 그려본적이 있다 멋지고 당당하게 출퇴근하고 일하는 나를 꿈꿨지만 현실은 그리 멋지고 당당하지 않은 지금의 내 모습이다 세무사사무실 분위기 개인업무로 구성되고 굳이 격식있는 옷차림도 필요없다보니 굉장히 젊고 자유로운 분위기이다 예전처럼 텃세가 있고 노하우라고 교육도 잘 안되있는곳도 없지는 않겠지만 보통은 물어보면 알려주고 같이 힘내려고 하는 분위기다 즉 반대로 말하면 텃세가 있고 그룹이 나뉘어있으며 노하우라고 안알려주고 스스로 하게하는 사업장은 별로인 셈이다 취업시장이 아무리 좁아졌어도 세무사사무실 특성상 신규채용은 많으니 본인이 느끼기에 업무외에 사람스트레스 그리고 관계스트레스가 있다.. 2022. 5. 13. 세무업의 사회생활 회사는 일을 하는 곳이다 노예가 되지 말라. 70% 정도의 수준으로만 일을 해라. 일 잘하는 사람과 가까이 해라. 그런데 생각해보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누군가 사회생활을 한다면 그 사회생활의 모습은 딱 1개이다. 비슷할 수는 있어도 똑같은 것은 없다. 그러니 많은 사회생활 직장 이야기 등을 보면서 감정을 공유하지만, 해법은 자기 스스로에게 있다. 그만큼 제각각의 사회생활을 하게 되겠지만 5년간 세무 업에서 일을 하다 보며 느낀 건 결국에는 일이 1순위이다. 일이 먼저가 되니 사내 관계도 입지도 급여도 대우도 다 달라졌다. 미친놈 보존의 법칙 나 또한 급여보다 미친상사 때문에 5년간 스트레스였고 이제 벗어나기 직전이다. 이유는 미친상사의 무능력을 입증했고 회사에서 해고의 형태로 퇴사일이 확정되었기 때문.. 2022. 2.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