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법 이야기

월세액 세액공제

by 세법깽깽이 2022. 2. 17.
반응형

연말정산에서의 월세 반영

요건을 따져, 매달 납부하는 월세 상당액에 대해서는

연말정산에 반영해서 추가납부의 부담을 줄이거나 환급을 받아야 한다

 

국세청 연말정산자료를 구성하는 것은

각 기관처의 협조가 모여 자료가 형성되기 때문에

기관이 아닌 개인 간 거래인 월세는 해당 내역을 추가로 증빙해야 정산이 되는 형태이다

 

 


대상

1. 무주택자

 

2. 총 급여액 7,000만 원 이하(종합소득금액 6,000만 원 이하)

 

가 대상자로써

 

이 요건을 충족한 근로자가 주택, 오피스텔, 고시원 등에 임차한

임차료를 대상으로 월세액 세액공제가 진행된다

 

 


공제율과 한도

공제율은 2개의 경우에 따라 나뉜다.

 

월세액의 한도는 750만 원이고 여기에서 공제율만큼 한도가 정해지는데

 

1. 총 급여액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금액 4,000만 원 이하)인 경우 12%

 

2. 총 급여액 7,000만 원 이하(종합소득금액 6,000만 원 이하)인 경우 10%이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750만 원의 10%인 75만 원과 

12%인 90만 원이 각각의 공제 한도이다.

 

 

출처 : 국세청

 

이러한 월세액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표준임대차계약서상의 내용을 잘 기재해서 정확히 공제받아야 하기 때문에

 

1. 표준임대차계약서

 

2. 월세 납부내역서(이체내역서) 등이 필요하다

 

이를 원천징수 의무자에게 제공하면 정산하여 반영해준다

 

 

 


반영 값

출처 : 국세청

 

공제 반영의 값은

세액감면 및 공제의 세액공제란에서 가장 아래 기재되어있다.

 

이때 지출액 입력값과 총급여액에 따라 공제율이 잘 반영되어있는지

확인하면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