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법 이야기

이월결손금은?

by 세법깽깽이 2022. 4. 5.
반응형

이월결손금이란?

 

1. 이월

 

이월이라는 뜻은 그 기간의 계정을 다음 기간으로 넘기는 일이라고 한다

 

2. 결손금

 

결손금이란 손금이 익금을 초과하는 경우 그 값을 말한다

 

 

재무제표에서 처분계산서를 보면

 

익금이 손금보다 많은경우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가 되고

손금이 익금보다 많은경우 결손금 처분계산서가 된다

 

즉 잉여금(이익)이 남는 것의 반대가 결손금(손실)이 되는 것이다

 

이 모두를 종합해보면, 이월결손금은

결손이 발생한 해에 금액을 확정해 이월결손금으로 하여 차기로 넘기는 것을 말한다

 

 


이월결손금의 처리

 

결손이 발생하면 이월시켰다가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이 양수의 값을 가질때

즉 납부할 세액이 발생하는 상황이 올 때

과세표준을 줄여줄 때 사용된다

 

따라서 잘 이월시켜야 한다

 

 


값의 산출

이월결손금의 값은

결산서상 당기순이익이 아니다

 

출처 : 법제처

법령에 나와있듯

법인 사업연도에 속하는

손금의 총액이 익금의 총액을 초과하는 경우를 말하기 때문에

 

결산서상 당기순이익에서

소득조정이 발생한 후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이 음수의 값을 가질 때

동 금액을 이월결손금으로 하여 이월시키는 것이다

 

출처 : 국세청

법인결산 과세표준 계산서를 보면

더 쉽게 이해가 간다

 

조정 전이 아닌 조정후 값으로 진행해야

결손금의 왜곡이 생기지 않으니 항상 조심해야 한다

반응형

'세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자등록  (0) 2022.04.23
법인의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0) 2022.04.14
보험료 세액공제  (0) 2022.03.25
연말정산 개인정보 동의  (0) 2022.03.21
전력기금의 비용처리  (0) 2022.03.18

댓글